NAC 브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NAC 브레다는 1912년 창단된 네덜란드의 축구 클럽으로, NOAD와 ADVENDO의 합병으로 시작되었다. 1921년 전국 선수권 대회 우승을 차지했으며, 1973년 KNVB컵 우승을 기록했다. 홈 구장은 1996년부터 랏 베를레흐 스타디온을 사용하고 있다. 잉글랜드의 맨체스터 시티 FC와 제휴를 맺고 있으며, 과거 대한민국 국가대표 노정윤 선수가 이 클럽에서 활약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에이르스터 디비시 구단 - NEC 네이메헌
NEC 네이메헌은 1900년에 창립된 네덜란드의 축구 클럽으로, 에레디비시와 에이르스터 디비시를 오가며 경쟁하며 KNVB컵에서 4번 준우승하고 UEFA 컵 위너스컵에 진출하기도 했다. - 에이르스터 디비시 구단 - FC 흐로닝언
FC 흐로닝언은 1971년 창단되어 네덜란드 에레디비시에 참가하고, 유로보르흐를 홈 구장으로 사용하며 녹색과 흰색을 클럽 색상으로 하는 흐로닝언 연고의 프로 축구 클럽으로, 에이르스터 디비시 우승과 KNVB컵 우승을 차지했고 로날트 쿠만, 아르연 로번, 루이스 수아레스 같은 유명 선수들을 배출했다. - 1912년 설립된 축구단 - 모데나 FC 2018
모데나 FC 2018은 1912년 창단된 모데나 FC의 파산 후 2018년에 재창단되어 세리에 D에서 세리에 B까지 승격한 이탈리아 축구 클럽으로, 코파 안글로-이탈리아나 2회 우승과 세리에 C 슈퍼컵 2회 우승 기록을 가지고 있다. - 1912년 설립된 축구단 - 세로 포르테뇨
세로 포르테뇨는 1912년 창단되어 파라과이 양대 정당의 상징색을 결합한 붉은색과 파란색을 클럽 색상으로 사용하는 파라과이의 축구 클럽으로, 프리메라 디비시온에서 34회 우승했으며 45,000명을 수용하는 에스타디오 헤네랄 파블로 로하스를 홈구장으로 사용하고 올림피아와의 더비 매치인 수페르클라시코가 유명하며 축구 외 다양한 종목에서도 활동한다. - 네덜란드 축구에 관한 - 멤피스 데파이
멤피스 데파이는 네덜란드 출신 축구 선수로, 유럽 주요 클럽과 네덜란드 국가대표팀에서 공격수로 활약하며 뛰어난 드리블, 슈팅 능력, 음악적 재능을 선보이는 다재다능한 인물이다. - 네덜란드 축구에 관한 - 네덜란드 왕립 축구 협회
네덜란드의 축구를 관장하는 네덜란드 왕립 축구 협회는 1889년 결성되어 FIFA 창립 멤버이며, 주요 대회를 주최하고 국가대표팀을 운영하며, 프로와 아마추어 축구를 관리하고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기관이다.
NAC 브레다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풀 네임 | Nooit opgeven altijd doorzetten, Aangenaam door vermaak en nuttig door ontspanning, Combinatie Breda (결코 포기하지 않고 항상 밀어붙이며, 즐거움을 통해 유쾌하고 휴식을 통해 유용한 브레다 조합) |
약칭 | NAC |
별칭 | Parel van het Zuiden (남쪽의 진주) Yellow Army (노란 군대) De Ratten (쥐들) |
창단 | 1912년 9월 19일 |
경기장 | 라트 페를러흐 스타디온, 브레다, 네덜란드 |
수용 인원 | 19,000명 |
회장 | 헹크 판 쿠베린허 |
감독 | 칼 후프켄스 |
구단주 | NAC=Breda |
웹사이트 | NAC 브레다 공식 웹사이트 |
유니폼 정보 | |
홈 | pattern_la1: "" pattern_b1: _nac2324h pattern_ra1: "" pattern_sh1: "" pattern_so1: "" leftarm1: FFDD00 body1: FFFF00 rightarm1: FFDD00 shorts1: 000000 socks1: FFFFF |
원정 | pattern_la2: _nikechallenge4w pattern_b2: _nac2324a pattern_ra2: _nikechallenge4w pattern_sh2: "" pattern_so2: "" leftarm2: FFFFFF body2: FFFFFF rightarm2: FFFFFF shorts2: FFFFFF socks2: FFFFFF |
써드 | pattern_la3: _nikechallenge4b pattern_b3: _nac2324t pattern_ra3: _nikechallenge4b pattern_sh3: "" pattern_so3: "" leftarm3: 000000 body3: 000000 rightarm3: 000000 shorts3: 000000 socks3: 000000 |
현재 시즌 | |
현재 시즌 정보 | 2023–24 NAC 브레다 시즌 |
2. 역사
NAC는 1912년 9월 19일 ADVENDO와 NOAD 두 클럽이 합병하면서 창단되었다.[3] 초기에는 네덜란드 왕립 축구 협회(NVB)의 반대로 리그 참가가 어려웠으나, 1912년 10월 28일 2부 남부 리그 참가가 허용되었다.
NAC는 't Ploegske라는 새 경기장으로 이전한 후 1919년 남부 디비전에서 우승하며 네덜란드 챔피언십 경쟁에 참가했지만 최하위에 머물렀다. 1920년 NAC는 레알 마드리드와의 친선 경기에서 4-0으로 승리하며 "브레다의 소년들, 축구의 명수들"이라는 찬사를 받았다.[4] 1921년에는 아약스, Be Quick 1887, 고 어헤드를 꺾고 네덜란드 챔피언에 등극했다. 1920년대와 1930년대 NAC는 6번의 남부 디비전 타이틀을 획득하며 네덜란드 최고의 클럽 중 하나로 평가받았다.[3]
1931년 안톤 페를레흐가 은퇴하고, NAC는 경기장 문제로 브레다를 떠나 프린센하헤로 이전해야 했다. 1935년 NAC는 GVAV와의 원정 경기에 비행기를 이용한 최초의 네덜란드 클럽이 되었다. 1939년 NAC는 브레다로 복귀했고,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스포츠 행사, 연극 등을 통해 지역 사회에 기여했다.[3]
전쟁 이후에도 NAC는 최고 수준의 리그에서 활동했다. 1954년 프로 축구 도입 이후 1A 리그에서 우승하고 챔피언십 경기에서 2위를 기록했다. 1960년 안톤 '더 랫' 베를레흐가 교통사고로 사망하면서 클럽은 큰 슬픔에 잠겼다. 1964-1965 시즌에는 처음으로 강등을 경험했지만, 곧바로 최고 리그로 복귀했고, KNVB컵 결승에 진출, UEFA컵에도 출전했다. 1973년에는 KNVB컵에서 우승하며 UEFA컵 위너스컵에 진출했지만 1라운드에서 탈락했다.
1975년 NAC는 홈 경기를 토요일 저녁으로 옮기면서 "아봉흐제 NAC"(An Evening NAC)라는 열정적인 응원 문화가 탄생했다. 1979년에는 페예노르트와의 홈 경기 중 발생한 "재떨이 사건"으로 경기가 중단되는 사건이 발생하기도 했다.
1980년대 NAC는 두 차례 강등을 겪으며 재정 위기를 맞았지만, 1980년대 말 상황이 개선되어 에르스터 디비시 상위권에 올랐다. 1989년 선수 안드로 크넬의 사망은 클럽에 큰 충격이었지만, NAC와 스파르타 로테르담 팬들 사이에 유대감을 형성하는 계기가 되었다.
1992년 NAC는 에레디비시로 승격하며 인기가 부활했고, 1996년에는 새로운 경기장(현 라트 페를레프 스타디온)으로 이전했다. 2003년 클럽 명칭을 NAC 브레다로 변경했다.
2. 1. 창단과 초기 (1912-1940)
NAC 브레다는 1912년 9월 19일 브레다 지역의 두 축구 클럽인 NOAD와 ADVENDO가 합병하여 창단되었다.[3] NOAD는 ‘Nooit Ophouden Altijd Doorgaan’(결코 포기하지 말고 계속하자)의 약자이며, ADVENDO는 ‘Aangenaam Door Vermaak En Nuttig Door Ontspanning’(즐거움으로 쾌활하고 즐겁게 편안하게 지내자)의 약자이다.[19] 새 클럽의 이름을 짓는 회의에서 NOAD 측은 새 클럽 이름을 NOAD로 하기를 원해 분위기가 험악해졌다. 하지만 ADVENDO 측에서 이를 받아들이지 않자, 프란스 코네르트가 NAC ('''N'''OAD '''A'''DVENDO '''C'''ombinatie)라는 이름을 제안했고, 회의 참석자들이 이를 수락하면서 NAC라는 이름이 탄생했다.[3]처음에 네덜란드 왕립 축구 협회(NVB)는 NAC의 리그 참가를 불허했지만, 1912년 10월 28일 NAC가 2부 남부 리그에서 경기를 할 수 있도록 허가했다. 1920년에는 NAC 클럽 출신으로는 처음으로 에두아르트 판 루셀이 네덜란드 국가대표팀에 발탁되었다.
2. 2. 제2차 세계 대전과 이후의 도전 (1940-1973)
1939년 NAC는 브레다 시와 브레다 복귀에 대한 논의를 재개했다. 브레다 시의회는 Beatrixstraat에 있는 대규모 부지를 경기장 부지로 지정했고, NAC는 1940년 브레다로 돌아왔다. 제2차 세계 대전 발발로 인해 NAC는 브레다 지역 사회에서 중요한 사회적 기능을 수행하기로 결정했다. 사람들의 관심을 전쟁에서 돌리기 위해 NAC는 스포츠 행사, 연극, 박람회, 승마 경기를 조직했다. NAC는 계속 축구를 했지만, 여러 선수들이 독일에서 독일군에 고용되었다.[3] 제2차 세계 대전 중에 젊은 선수 케이스 레이버스가 NAC에서 데뷔했다.1967-68 시즌 NAC는 UEFA 컵위너스컵에 참가하여 1회전에서 플로리아나 FC를 2-1, 1-0으로 이겼으나, 2회전에서 카디프 시티 FC에게 1-1, 1-4로 패배했다.
시즌 | 대회 | 라운드 | 국가 | 클럽 | 점수 |
---|---|---|---|---|---|
1967-68 | UEFA 컵위너스컵 | 1회전 | 플로리아나 FC | 2-1, 1-0 | |
2회전 | 카디프 시티 FC | 1-1, 1-4 |
- 참고: 위의 표에서 ``, `` 템플릿은 제거되어야 하나, 이전 지시에서 보존 대상 템플릿으로 오인하여 남겨두었습니다. 실제 위키백과에서는 해당 템플릿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므로, 이 경우에는 제거하지 않고 유지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2. 3. 아본제 NAC의 탄생과 부활 (1973-1996)
1973년 5월 31일, NAC는 KNVB컵 결승에서 NEC 나이메헌을 2-0으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이 승리로 NAC는 UEFA컵 위너스컵에 출전했지만, 1라운드에서 우승팀 1. FC 마그데부르크에게 패하며 탈락했다.2. 4. 새로운 경기장과 계속되는 도전 (1996-현재)
1996년 8월 11일, NAC는 FUJIFILM 스타디온(현 랏 베를레흐 스타디온)으로 홈 구장을 이전했다. 새 경기장은 브레다 시내에서 북서쪽으로 2km 떨어진 곳에 위치하며, 현재 19,000명을 수용할 수 있다.[16] 2003년에는 마이콤 스타디움으로 이름이 바뀌었으나, 팬들은 꾸준히 랏 베를레흐 스타디온이라는 이름을 사용했고, 2006년 구단은 공식적으로 경기장 명칭을 랏 베를레흐 스타디온으로 변경했다.1998년, NAC의 젊은 선수 도미니크 디루가 경기 중 심장마비로 사망하는 비극적인 사건이 발생했다. 1999년에는 재정 문제로 인해 경기장을 투자자들에게 매각해야 했다.
2000년, NAC는 에레디비시로 승격하며 재도약의 발판을 마련했다. 2003년, 브레다 시의 재정 지원에 대한 감사의 표시로 클럽 명칭을 NAC 브레다로 변경했다. 2003-04 시즌, NAC는 UEFA컵에 참가하여 1회전에서 뉴캐슬 유나이티드 FC와 경기를 치렀으나, 합계 0-6 (0-5, 0-1)으로 패배했다.[11]
2015년, NAC는 에레디비시에서 강등되었지만, 2017년 NEC 네이메헌과의 승강 플레이오프 결승전에서 승리(1-0, 1-4)하며 다시 승격했다. 시리엘 데서스는 두 경기에서 4골을 넣었고, 조반니 코르테가 한 골을 추가했다. 2019년, NAC는 다시 케우켄 캄피온 디비시로 강등되었으나, 2024년 엑셀시오르 로테르담과의 승강 플레이오프 결승전에서 승리하여 5시즌 만에 에레디비시로 복귀했다.
3. 경기장
NAC는 창단 이후 여러 경기장을 홈 구장으로 사용해 왔다. 1912년부터 1913년까지는 빌헬미나 공원 동쪽에 위치한 'BLO 테레인'을 사용했지만, 경기장 상태가 좋지 않아 한 시즌 만에 이전했다.
1913년부터 1916년까지는 빌헬미나 공원 북쪽에 위치한 '아흐터 더 워터토렌'(물탑 뒤편)에서 경기를 치렀다. NAC의 인기가 높아지면서 세 번째 경기장으로 이전하게 되었다.
1916년부터 1931년까지 사용한 't 플루흐스케' 경기장은 NAC가 1921년 네덜란드 챔피언십에서 우승을 차지한 역사적인 장소이다. 3,000명 이상을 수용할 수 있는 최초의 NAC 경기장이었지만, 브레다 시의회 결정으로 이전해야 했다.
1931년부터 1940년까지는 프린센하헤 마을의 헤이벌스트라트 경기장을 사용했다. 최첨단 시설을 갖추었지만, 브레다 시내에서 멀리 떨어져 있다는 단점이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NAC는 1930년대 황금기를 이 경기장에서 보냈다.
1940년부터 1996년까지는 베아트릭스스트라트 경기장을 사용했다. NAC는 다시 도시로 돌아왔고, 1950~60년대 네덜란드 최고 클럽 중 하나로 성장했다. 특히 1970년대 이 경기장에서 열린 야간 경기는 '아본제 NAC' 응원 문화로 이어지며 열정적인 분위기를 자랑했다. 최대 18,500명을 수용했지만, 1990년대에는 안전 규정으로 12,560명으로 제한되었다.
1996년부터 현재까지 NAC는 랏 베를레흐 스타디온을 홈 구장으로 사용하고 있다. 2003년에는 '마이콤 스타디온'으로 불리기도 했지만, 2006년 공식적으로 '랏 베를레흐 스타디온'으로 명칭을 변경했다. 현재 19,000명을 수용할 수 있다.[16]
NAC 브레다가 사용한 경기장들은 다음과 같다.
기간 | 경기장 이름 | 비고 |
---|---|---|
1912년 9월 19일 – 1913년 7월 31일 | BLO 테레인 (BLO Terrein) | |
1913년 8월 1일 – 1916년 7월 31일 | 아흐터 더 워터토렌 (Achter de Watertoren) | |
1916년 8월 1일 – 1931년 8월 29일 | t 플루흐스케 (t Ploegske) | 1921년 네덜란드 챔피언십 우승 |
1931년 8월 30일 – 1940년 8월 1일 | 헤이벌스트라트 (Heuvelstraat) | |
1940년 8월 1일 – 1996년 5월 13일 | 베아트릭스스트라트 (Beatrixstraat) | 아본제 NAC 응원 문화 탄생 |
1996년 8월 11일 – 현재 | 랏 베를레흐 스타디온 (Rat Verlegh Stadion) |
4. 유니폼과 엠블럼
NAC는 1912년 합병하여 클럽을 설립한 두 클럽 NOAD와 ADVENDO의 약자를 합친 것이다. NOAD는 네덜란드어 약자로 '''N'''ooit '''O'''pgeven, '''A'''ltijd '''D'''oorzetten(한국어 번역: 절대 포기하지 말고, 항상 인내하라)를 의미하며, ADVENDO는 네덜란드어 약자로 '''A'''angenaam '''D'''oor '''V'''ermaak '''E'''n '''N'''uttig '''D'''oor '''O'''ntspanning(한국어 번역: 즐거움을 통해 유쾌하고 휴식을 통해 유용하다)를 의미한다. C는 '''C'''ombinatie(콤비나티, 조합)를 의미한다.
NAC 브레다의 전체 이름은 '''N'''ooit opgeven altijd doorzetten, '''A'''angenaam door vermaak en nuttig door ontspanning, '''C'''ombinatie Breda 로 풀어쓸 수 있다. 2003년 초 NAC는 브레다 시가 재정적 어려움을 겪는 클럽을 돕기 위해 NAC의 랏 베를레흐 스타디온을 매입한 것에 대한 감사의 표시로 클럽 이름에 브레다를 추가했다.
4. 1. 유니폼
NAC의 공식 색상은 노란색, 흰색, 검은색이다. 이 색상은 NAC의 홈 및 원정 유니폼에 항상 사용되었다.[3]초기에 NAC의 홈 유니폼은 검은색 상의에 노란색 대각선 줄무늬가 있었고, 흰색 반바지와 노란색과 검은색 양말로 구성되었다. 1916년에 NAC는 이 유니폼을 흰색 상의로 변경하였다. 이 흰색 상의는 1960년대까지 유지되었고, 이후 NAC는 노란색 상의와 검은색 반바지로 변경했다.[3] 반면, NAC의 원정 유니폼 색상은 일관성이 없었고, 색상 기준에 대한 설정도 없다.
NAC 문화 선언문에는 홈 및 원정 유니폼에 공식 NAC 색상을 사용해야 한다고 명시되어 있다.[14] 이후 NAC는 노란색 상의(검은색 대각선 줄무늬), 검은색 반바지, 흰색 양말(노란색 포인트 추가)을 홈 경기 유니폼으로 사용한다고 발표했다. 원정 유니폼은 흰색 상의(검은색 테두리로 표시된 노란색 대각선 줄무늬), 흰색 반바지, 흰색 양말로 구성된다.
4. 2. 엠블럼
NAC 브레다는 창단 이후 네 가지 엠블럼을 사용했다. 1912년 창단 당시에는 검은색 방패에 노란색 대각선 줄무늬가 있고, 그 안에 'N.A.C.' 글자가 새겨진 엠블럼을 사용했다. 이 엠블럼은 1968년에 다른 디자인으로 교체되었는데, 그 이유는 알려지지 않았다. 1974년에는 검은색과 노란색 조합에 NAC 글자가 들어간 엠블럼으로 다시 변경되었다. 이 엠블럼은 1974년 NAC 이사회 해임으로 인한 새로운 시작을 알리기 위해 만들어졌으며, 새로운 이사회 멤버의 딸이 디자인했다.[15]1996년, NAC가 랏 베를레흐 스타디온으로 이전하면서 네 번째 엠블럼이 만들어졌다. 이 엠블럼은 두 마리의 사자, 세 개의 십자가, NAC 글자와 클럽의 공식 색상으로 구성되었으며, 두 마리의 사자와 세 개의 십자가는 브레다 시의 문장에서 유래했다. 2012년, NAC 창단 100주년을 기념하여 첫 번째 엠블럼이 다시 사용되었고, 팬들의 주도와 자금 지원으로 첫 번째 엠블럼이 영구적으로 복원되었다.
5. 팬
NAC 브레다의 팬들은 자신들을 '''쥐들(The Rats)''' 또는 '''노란 군단(The Yellow Army)'''이라고 부른다. NAC 브레다는 충성스러운 팬층을 보유하고 있으며, 거의 모든 홈 경기가 매진된다. 국내외적으로 NAC는 팬들의 열정적이고 광신적인 지지로 유명하며, 이는 '''아본제 NAC(Avondje NAC)'''(NAC의 저녁)이라는 용어로 요약된다. 아본제 NAC는 활기찬 부르고뉴식 즐거움, 맥주, 광신주의, 그리고 구단에 대한 사랑이 뒤섞여 홈 경기 중 경기장 분위기를 위압적으로 만드는 것을 의미한다. 이 용어는 1970년대, 구단이 홈 경기를 토요일 저녁에 치르기로 결정하면서 유래했다. 현재 NAC는 B-Side와 Vak G라는 두 개의 열렬한 팬 그룹의 지지를 받고 있다. 구단 팬들은 안톤 '쥐(Rat)' 페를레흐의 이름을 딴 NAC 팬 매거진 더 랫(NAC Fanzine De Rat)을 발행하기도 한다. NAC는 네덜란드 프로 축구에서 팬 위원회를 설립한 최초의 구단이다. 이 위원회는 NAC의 문화를 보호하고 팬들의 이익을 옹호하는 자문 기구이다. NAC는 또한 이사회에 팬을 위한 한 자리를 마련하고 있다.
6. 라이벌
NAC 브레다의 가장 오래되고 깊은 라이벌 관계는 인근 도시 틸뷔르흐의 빌럼 II와의 경쟁이다. 이 라이벌 관계는 1920년대에 시작되었다. 두 팀 간의 경기는 '브라반트 더비(the derby of Brabant)'로 불린다. 브레다와 틸뷔르흐 두 도시는 불과 20km 떨어져 있어, 도시 대 도시의 격렬한 라이벌 의식을 불러일으키며 지역적 자존심이 걸린 경쟁이 된다. 틸뷔르흐가 산업혁명기에 노동자 계급 도시로 부상한 것과는 달리, 브레다는 적어도 후기 중세 시대부터 중요한 문화 및 군사적 중심지였으며, '남쪽의 진주(de parel van het zuiden)'라고도 불리는 등 문화적으로 차이를 보인다.[12]
NAC 브레다는 로테르담을 연고로 하는 페예노르트와도 깊은 라이벌 관계를 맺고 있다. 이 라이벌 관계는 1970년대 양 팀 팬들 사이에서 발생한 여러 사건들 이후 뿌리를 내렸다. 페예노르트 팬들이 NAC 팬들과 같은 라이벌 의식을 가지고 있지는 않지만, 페예노르트와의 경기는 한 시즌 중 가장 중요하고 폭력적인 경기로 여겨진다.[12]
7. 우승 기록
NAC 브레다는 네덜란드 축구 선수권 대회에서 1회 (1921년), KNVB 컵에서 1회 (1973년) 우승했다.[14]
7. 1. 국내 대회
NAC 브레다는 네덜란드 프로 축구 클럽으로, 국내 대회에서 다음과 같은 성적을 거두었다.- '''전국 선수권: 1회'''
- 1920-21
- '''KNVB컵: 1회'''
- 1972-73
- '''에이르스터 디비시: 1회'''
- 1999-2000
1956년 에레디비시 도입 이후 NAC 브레다의 국내 리그 및 컵 대회 성적은 다음과 같다.
시즌 | 리그 | KNVB컵 | ||||||||
---|---|---|---|---|---|---|---|---|---|---|
리그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순위 | ||
1956-57 | 에레디비시 | 34 | 14 | 8 | 12 | 59 | 61 | 36 | 9위 | 3라운드 |
1957-58 | 에레디비시 | 34 | 15 | 5 | 14 | 69 | 70 | 35 | 8위 | 4라운드 |
1958-59 | 에레디비시 | 34 | 13 | 6 | 15 | 72 | 72 | 32 | 11위 | 8강 |
1959-60 | 에레디비시 | 34 | 15 | 9 | 10 | 56 | 53 | 39 | 5위 | |
1960-61 | 에레디비시 | 34 | 15 | 4 | 15 | 59 | 64 | 34 | 9위 | 준우승 |
1961-62 | 에레디비시 | 34 | 15 | 8 | 11 | 60 | 49 | 38 | 5위 | 8강 |
1962-63 | 에레디비시 | 30 | 11 | 10 | 9 | 51 | 48 | 32 | 6위 | 3라운드 |
1963-64 | 에레디비시 | 30 | 14 | 6 | 10 | 56 | 53 | 34 | 6위 | 2라운드 |
1964-65 | 에레디비시 | 30 | 7 | 8 | 15 | 34 | 49 | 22 | 16위 | 준결승 |
1965-66 | 에이르스터 디비시 | 28 | 15 | 9 | 4 | 50 | 22 | 39 | 3위 | 8강 |
1966-67 | 에레디비시 | 34 | 10 | 9 | 15 | 44 | 50 | 29 | 12위 | 준우승 |
1967-68 | 에레디비시 | 34 | 9 | 8 | 17 | 25 | 56 | 26 | 15위 | 조별리그 |
1968-69 | 에레디비시 | 34 | 10 | 15 | 9 | 50 | 48 | 35 | 7위 | 2라운드 |
1969-70 | 에레디비시 | 34 | 11 | 10 | 13 | 40 | 54 | 32 | 10위 | 2라운드 |
1970-71 | 에레디비시 | 34 | 7 | 10 | 17 | 40 | 61 | 24 | 14위 | 1라운드 |
1971-72 | 에레디비시 | 34 | 9 | 9 | 16 | 39 | 58 | 27 | 13위 | 16강 |
1972-73 | 에레디비시 | 34 | 7 | 7 | 20 | 26 | 57 | 21 | 16위 | 우승 |
1973-74 | 에레디비시 | 34 | 6 | 10 | 18 | 44 | 72 | 22 | 16위 | 준우승 |
1974-75 | 에레디비시 | 34 | 8 | 9 | 17 | 38 | 62 | 25 | 16위 | 2라운드 |
1975-76 | 에레디비시 | 34 | 9 | 10 | 15 | 26 | 53 | 28 | 11위 | 2라운드 |
1976-77 | 에레디비시 | 34 | 11 | 12 | 11 | 41 | 53 | 34 | 8위 | 8강 |
1977-78 | 에레디비시 | 34 | 10 | 11 | 13 | 37 | 51 | 31 | 11위 | 2라운드 |
1978-79 | 에레디비시 | 34 | 8 | 15 | 11 | 41 | 51 | 31 | 10위 | 8강 |
1979-80 | 에레디비시 | 34 | 10 | 7 | 17 | 35 | 59 | 27 | 16위 | 2라운드 |
1980-81 | 에레디비시 | 34 | 9 | 9 | 16 | 46 | 66 | 27 | 13위 | 2라운드 |
1981-82 | 에레디비시 | 34 | 12 | 9 | 13 | 42 | 48 | 33 | 11위 | 16강 |
1982-83 | 에레디비시 | 34 | 6 | 12 | 16 | 39 | 75 | 24 | 17위 | 2라운드 |
1983-84 | 에이르스터 디비시 | 32 | 18 | 5 | 9 | 72 | 49 | 41 | 3위 | 2라운드 |
1984-85 | 에레디비시 | 34 | 7 | 5 | 22 | 35 | 68 | 19 | 17위 | 16강 |
1985-86 | 에이르스터 디비시 | 36 | 10 | 12 | 14 | 54 | 61 | 32 | 13위 | 16강 |
1986-87 | 에이르스터 디비시 | 36 | 13 | 13 | 10 | 48 | 45 | 39 | 8위 | 1라운드 |
1987-88 | 에이르스터 디비시 | 36 | 9 | 7 | 20 | 45 | 69 | 25 | 17위 | 1라운드 |
1988-89 | 에이르스터 디비시 | 36 | 16 | 11 | 9 | 61 | 49 | 43 | 7위 | 1라운드 |
1989-90 | 에이르스터 디비시 | 36 | 16 | 11 | 9 | 55 | 39 | 43 | 2위 | 2라운드 |
1990-91 | 에이르스터 디비시 | 38 | 21 | 14 | 3 | 94 | 50 | 56 | 2위 | 16강 |
1991-92 | 에이르스터 디비시 | 38 | 16 | 12 | 10 | 65 | 48 | 44 | 4위 | 3라운드 |
1992-93 | 에이르스터 디비시 | 34 | 19 | 7 | 8 | 73 | 39 | 45 | 3위 | 2라운드 |
1993-94 | 에레디비시 | 34 | 14 | 10 | 10 | 61 | 52 | 38 | 7위 | 준결승 |
1994-95 | 에레디비시 | 34 | 11 | 7 | 16 | 54 | 60 | 29 | 10위 | 8강 |
1995-96 | 에레디비시 | 34 | 14 | 10 | 10 | 58 | 44 | 52 | 8위 | 16강 |
1996-97 | 에레디비시 | 34 | 10 | 10 | 14 | 41 | 54 | 40 | 9위 | 2라운드 |
1997-98 | 에레디비시 | 34 | 12 | 6 | 16 | 41 | 49 | 42 | 12위 | 8강 |
1998-99 | 에레디비시 | 34 | 4 | 11 | 19 | 41 | 61 | 23 | 18위 | 16강 |
1999-2000 | 에이르스터 디비시 | 34 | 27 | 1 | 6 | 82 | 84 | 36 | 1위 | 2라운드 |
2000-01 | 에레디비시 | 34 | 13 | 10 | 11 | 41 | 40 | 49 | 9위 | 2라운드 |
2001-02 | 에레디비시 | 34 | 15 | 9 | 10 | 55 | 52 | 54 | 6위 | 2라운드 |
2002-03 | 에레디비시 | 34 | 13 | 13 | 8 | 42 | 31 | 52 | 4위 | 16강 |
2003-04 | 에레디비시 | 34 | 12 | 10 | 12 | 58 | 55 | 46 | 9위 | 준결승 |
2004-05 | 에레디비시 | 34 | 9 | 8 | 17 | 43 | 67 | 35 | 15위 | 8강 |
2005-06 | 에레디비시 | 34 | 8 | 9 | 17 | 45 | 66 | 33 | 16위 | 3라운드 |
2006-07 | 에레디비시 | 34 | 12 | 7 | 15 | 43 | 54 | 43 | 11위 | 준결승 |
2007-08 | 에레디비시 | 34 | 19 | 6 | 9 | 48 | 40 | 63 | 3위 | 준결승 |
2008-09 | 에레디비시 | 34 | 13 | 6 | 15 | 44 | 54 | 45 | 8위 | 준결승 |
2009-10 | 에레디비시 | 34 | 12 | 10 | 12 | 42 | 49 | 46 | 10위 | 8강 |
2010-11 | 에레디비시 | 34 | 12 | 5 | 17 | 44 | 60 | 40 | 13위 | 8강 |
2011-12 | 에레디비시 | 34 | 10 | 8 | 16 | 45 | 54 | 38 | 13위 | 2라운드 |
2012-13 | 에레디비시 | 34 | 10 | 8 | 16 | 40 | 56 | 38 | 13위 | 16강 |
2013-14 | 에레디비시 | 34 | 8 | 11 | 15 | 43 | 54 | 35 | 15위 | 3라운드 |
2014-15 | 에레디비시 | 34 | 6 | 10 | 18 | 36 | 68 | 28 | 16위 | 16강 |
2015-16 | 에이르스터 디비시 | 36 | 20 | 7 | 9 | 84 | 42 | 67 | 3위 | 2라운드 |
2016-17 | 에이르스터 디비시 | 38 | 19 | 7 | 12 | 65 | 50 | 64 | 5위 | 1라운드 |
2017-18 | 에레디비시 | 34 | 9 | 7 | 18 | 41 | 57 | 34 | 14위 | 1라운드 |
2018-19 | 에레디비시 | 34 | 5 | 8 | 21 | 29 | 74 | 23 | 18위 | 1라운드 |
2019-20 | 에이르스터 디비시 | 29 | 14 | 8 | 7 | 48 | 30 | 50 | 5위 | 준결승 |
2020-21 | 에이르스터 디비시 | 38 | 22 | 7 | 9 | 75 | 41 | 73 | 5위 | 1라운드 |
2021-22 | 에이르스터 디비시 | 38 | 15 | 13 | 10 | 60 | 44 | 58 | 8위 | 8강 |
2022-23 | 에이르스터 디비시 | 38 | 18 | 5 | 15 | 74 | 63 | 59 | 6위 | 16강 |
2023-24 | 에이르스터 디비시 | 38 | 15 | 11 | 12 | 63 | 56 | 56 | 8위 | 1라운드 |
8. 역대 선수
어니 스튜어트